프로그래밍이란?
•
프로그래밍은 디지털 기계장치(ex_ 노트북, 스마트폰, 전기차, 키오스크, 로봇 등)와 인간이 소통하기 위한 언어다.
•
디지털 기계장치는 0과 1로 이루어진 디지털 신호 체계(기계어)를 가지고 동작을 수행한다.
•
인간은 인간의 언어(대표적으로 영어)를 가지고 소통을 한다.
•
그래서, 프로그래밍 언어는 인간의 언어(영어) 와 기계어의 중간 단계이다.
프로그래밍 레벨
•
저수준 언어
◦
저수준 언어는 기계어(0101)과 가깝기 때문에 기계에서 동작속도가 빠르다
◦
하지만 인간이 이해하기 어려운 형태기 때문에 코드 작성이 어렵다.
◦
대표적으로 어셈블리어, C언어가 있다.
•
고수준 언어
◦
고수준 언어는 인간의 언어(영어)와 가깝기 때문에 인간이 코드 작성하기 수월하다.
◦
하지만 기계어로 변환되는데 과정이 길기 때문에 코드 동작 속도가 느리다.
◦
또 하지만 요즘은 컴퓨터 성능이 전반적으로 좋아져서 속도가 그럭저럭 괜찮다.
◦
대표적으로 파이썬이 있다.
기계어로 번역하는 방식 2가지
•
인터프리터 방식은 프로그래밍 코드를 한줄한줄 기계어로 바꾸어 동작시키기 때문에 위에서 부터 동작하다가 에러가 나면 프로그램이 멈춘다.
•
컴파일러 방식은 프로그래밍 코드를 한번에 기계어로 바꾸어 동작시기키 때문에 에러가 있으면 아에 동작을 시작하지 않는다.
기계어의 실체? : 1010 이란 디지털 신호
•
디지털 신호의 실체 : 전기적 압력 : 전압
•
디지털 신호 1 : 3.7V에서 5.3V 사이의 전압
•
디지털 신호 0 : 0 ~ 0.7V 사이 전압
•
클록 : 디지털 신호를 입력하는 박자 혹은 리듬
•
클록에 맞추어 전기적 신호를 측정하여 0인지 1인지 판별하여 그 신호에 따라 기계장치가 임무를 수행한다.




